2024년부터 가임력 검사가 국가지원이 된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저도 신혼 초 임신을 준비하면서 임신사전검사를 받았던 기억나네요.^^
올해 둘째를 고민하면서 저도 이 제도를 통해 실제로 검사를 받아봤습니다.

임신 준비 중이라면 꼭! 가임력 검사 국가지원받는 방법 정리
임신 준비 부부(사실혼, 예비부부 포함)라면, 소득 수준 및 거주지역에 관계없이 필수 가임력 검사비 여성 13만 원(난소기능검사, 부인과 초음파), 남성 5만 원(정액검사)을 지원받을 수 있답니다.
어떤 검사인가요?
여성: 난소기능검사(AMH, 일명 '난소 나이 검사') & 부인과 초음파 (자궁, 난소 등 확인)
남성: 정액검사 (정자 정밀형태 검사 포함)
얼마까지 지원되나요?
여성: 최대 13만 원
남성: 최대 5만 원
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검사하고 의료기관에서 선지불 후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청구하여 환급받기
신청 대상은?
20~49세 남녀 중 검사 희망자 (결혼 여부 관계없음)
내국인 배우자 있는 외국인도 가능
연령대별로 주기별 최대 3회까지 지원 가능
29세 이하(제1주기) 30~34세(제2주기) 35~49세(제3주기) 주기별 1회 최대 3회 지원
신청 절차는 이렇게!
- e보건소 또는 주소지 보건소에서 검사비 지원 신청
- 검사의뢰서 발급 (신청일로부터 5일 이내)
- 지정 병원에서 검사 (의뢰서 지참 필수, 예약 권장)
- 보건소 또는 e보건소에서 환급 청구
- 청구 후 3개월 이내 환급 완료
궁금하다면?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주소지 관할 보건소 문의
저는 e보건소를 통해 검사 신청 및 환급신청을 진행하였답니다.
민원서비스 -> 의료비지원 ->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온라인으로 신청 시 제출 서류는 필요 없으며 간편 인증을 하여 신청자 정보와 대상자 정보를 입력 후 신청합니다.
그럼 관할 보건소에서 확인 후 신청자에게 문자가 옵니다.
이 문자를 받고 e보건소에 들어가서 검사의뢰서를 발급받고 검사 진행 후 청구를 합니다.
민원서비스 -> 의료비지원 -> 신청 현황조회 간편 인증을 통해 들어갑니다.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의뢰서를 제출하였으나 병원에서는 보지도 않고 저에게 다시 돌려주어
꼭 출력을 해서 가야 하는 건가.. 하는 의문이 들더라고요.

병원마다 다르겠지만 난소기능검사는 50,000원 초음파 90,000원 해서 140,000원을 내고 왔답니다.
다시 민원서비스 -> 의료비지원 -> 신청 현황조회 간편 인증을 통해 들어가서 청구 신청을 합니다.
신청인 정보 및 청구인 정보를 입력 후
병원에서 발급받은 진료비 계산서, 세부내역서와 통장 사본을 jpg 또는 pdf로 저장하여 구비서류에 첨부합니다.
업로드 개수가 한 개 이므로 이렇게 파일 추가를 통해 올려야 하고,
첨부 서류 업로드 시 : 기타 서류 - 영수증, 진단서 및 확인서 - 진료비세부내역서, 기타 서류 - 통장사본으로 입력 후 파일 첨부~
앗... 검사비 총액을 제가 지불한 비용 14만 원을 적었더니 안되네요~~ 다시 13만 원으로 고쳐서 청구신청!!
간단하지요^^
임신 준비는 내 건강을 제대로 아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지원받을 수 있을 때 꼭 챙겨보세요!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 심근경색 환자 이야기 (1) | 2025.05.05 |
---|---|
피부는 물론, 면역까지! 아이의 장 건강을 위한 유산균 - 코스트코 드시모네 키즈 유산균 (6) | 2025.05.03 |
저당밥솥 칼로쿡 솔직 후기! 전자레인지로 간편하게 저당밥을 먹는 방법 (4) | 2025.04.23 |
담낭절제술 후, 우리 부부의 하루 한 끼 샐러드 루틴 (0) | 2025.04.20 |
건강일지 (담낭 제거 후 25일차) - 현재 나의 몸상태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