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이야기

가임력 검사 국가지원, 직접 받아본 솔직 후기 (여성 13만 원, 남성 5만 원)

리치 퍼플 2025. 5. 2. 14:09

 

2024년부터 가임력 검사가 국가지원이 된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저도 신혼 초 임신을 준비하면서 임신사전검사를 받았던 기억나네요.^^

올해 둘째를 고민하면서 저도 이 제도를 통해 실제로 검사를 받아봤습니다.

임신 준비 중이라면 꼭! 가임력 검사 국가지원받는 방법 정리

 

임신 준비 부부(사실혼, 예비부부 포함)라면, 소득 수준 및 거주지역에 관계없이 필수 가임력 검사비 여성 13만 원(난소기능검사, 부인과 초음파), 남성 5만 원(정액검사)을 지원받을 수 있답니다.

어떤 검사인가요?

여성: 난소기능검사(AMH, 일명 '난소 나이 검사') & 부인과 초음파 (자궁, 난소 등 확인)

 

남성: 정액검사 (정자 정밀형태 검사 포함)

 

얼마까지 지원되나요?

 

여성: 최대 13만 원

남성: 최대 5만 원


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검사하고 의료기관에서 선지불 후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청구하여 환급받기

 

신청 대상은?

 

20~49세 남녀 중 검사 희망자 (결혼 여부 관계없음)

내국인 배우자 있는 외국인도 가능

연령대별로 주기별 최대 3회까지 지원 가능

연령대지원 가능 횟수

29세 이하(제1주기) 30~34세(제2주기) 35~49세(제3주기) 주기별 1회 최대 3회 지원

 

 

신청 절차는 이렇게!

  1. e보건소 또는 주소지 보건소에서 검사비 지원 신청
  2. 검사의뢰서 발급 (신청일로부터 5일 이내)
  3. 지정 병원에서 검사 (의뢰서 지참 필수, 예약 권장)
  4. 보건소 또는 e보건소에서 환급 청구
  5. 청구 후 3개월 이내 환급 완료

 

궁금하다면?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주소지 관할 보건소 문의

 

저는 e보건소를 통해 검사 신청 및 환급신청을 진행하였답니다.

 

민원서비스 -> 의료비지원 ->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온라인으로 신청 시 제출 서류는 필요 없으며 간편 인증을 하여 신청자 정보와 대상자 정보를 입력 후 신청합니다.

그럼 관할 보건소에서 확인 후 신청자에게 문자가 옵니다.

 

이 문자를 받고 e보건소에 들어가서 검사의뢰서를 발급받고 검사 진행 후 청구를 합니다.

민원서비스 -> 의료비지원 -> 신청 현황조회 간편 인증을 통해 들어갑니다.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의뢰서를 제출하였으나 병원에서는 보지도 않고 저에게 다시 돌려주어

꼭 출력을 해서 가야 하는 건가.. 하는 의문이 들더라고요.

 

병원마다 다르겠지만 난소기능검사는 50,000원 초음파 90,000원 해서 140,000원을 내고 왔답니다. 

 

다시 민원서비스 -> 의료비지원 -> 신청 현황조회 간편 인증을 통해 들어가서 청구 신청을 합니다.

신청인 정보 및 청구인 정보를 입력 후

병원에서 발급받은 진료비 계산서, 세부내역서와 통장 사본을 jpg 또는 pdf로 저장하여 구비서류에 첨부합니다.

 

업로드 개수가 한 개 이므로 이렇게 파일 추가를 통해 올려야 하고,

첨부 서류 업로드 시 : 기타 서류 - 영수증, 진단서 및 확인서 - 진료비세부내역서, 기타 서류 - 통장사본으로 입력 후 파일 첨부~

 

앗... 검사비 총액을 제가 지불한 비용 14만 원을 적었더니 안되네요~~ 다시 13만 원으로 고쳐서 청구신청!!

 

간단하지요^^

임신 준비는 내 건강을 제대로 아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지원받을 수 있을 때 꼭 챙겨보세요!